2025 안전기술사와 안전기사 취득 방법
안전기사 및 안전기술사 취득의 방향과 전략
1. 취득 방향 및 태도
안전기사는 현장 중심의 실무형 자격으로, 산업현장 관리자와 안전관리 담당자를 대상으로 합니다. 건설, 제조, 에너지 등 산업 분야에서 안전관리자로 선임되기 위해 필수적인 자격으로, 법적 요건을 충족하고 공공기관 입찰 가점 등의 실질적인 이점이 있습니다.
안전기술사는 안전분야 최상위 자격으로, 중대재해처벌법 대응 및 안전정책 수립, 진단 및 감리 수행까지 가능한 전문가 등급입니다. 단순 지식이 아닌, 사고 예방을 위한 제도 설계 및 안전시스템 구축 능력이 요구됩니다.
두 자격 모두 사람의 생명을 다룬다는 책임감을 바탕으로 “사고예방 시스템의 주체”로서의 자세가 중요합니다.
2. 공부 전략
▶ 안전기사
- 이론 요약 + 기출 반복 훈련
- 산업안전보건법, 공정안전관리(PSM), 위험물, 방폭 등 중요 파트 집중
- 실기: 작업형 중심, 실무 문제풀이 반복
▶ 안전기술사
- 서술형 문제 대비: 개요 → 본론 → 결론 구조화된 답안 연습
- 사고사례 분석 후 기술적, 법적, 제도적 대책 통합 서술
- 법령, 설계 기준, 사고 대응 시스템 연계 기술 요구
3. 문제 출제 동향
구분 | 출제 경향 |
---|---|
안전기사 | 산안법 조항 중심 객관식, 법령 위반사례 OX, 세부 규정 빈칸 문제 증가 |
안전기술사 | 사고 사례 중심의 시스템 설계형 문제, 법령+기술 통합 서술형 증가 |
4. 포스코 사고와의 연관성
포스코의 협력업체 질식·끼임사고는 PSM 미이행, 밀폐공간 작업관리 부재 등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했습니다. 이는 안전기술사 시험에서 주요 사례로 활용되며 다음과 같은 형태로 연계됩니다:
- PSM 시스템 설계 부족 → 위험성 평가 기반 시스템 제안 문제
- 중대재해처벌법 대응 방안 서술
- 작업허가서 관리 부실 → 내부감사 체계 개선 방안 요구
5. 실전 자료 및 참고문헌
- 산업안전보건법령집 (최신 개정본)
- 중대재해처벌법 해설서 (고용노동부)
- 포스코, 현대중공업 사고 분석 보고서 (KOSHA 공개자료)
- 기술사 스터디 카페: 네이버 기술사 사랑방
결론
안전기사와 기술사는 시험을 넘어서 ‘실제 산업현장의 생명을 지키는 실천가’로서의 역할을 강화하는 자격입니다. 포스코와 같은 중대사고는 이러한 자격의 실질적 필요성과 시험 출제의 방향성을 명확히 보여주는 사례입니다.